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전 지하철 7호선

덤프버전 :

||
파일:szline7train.jpg

중차 창춘 A형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도시철도
기점시리후[1]
종점타이안
역 수28
개업일2016년 10월 28일(7주년)
소유자파일:선전 지하철 로고.svg
운영자
사용차량중차 창춘 A형 전동차
차량기지션윈차량사업소
안퉈산정차장
노선 제원
노선연장30.173 km
궤간1435㎜
선로구성복선
사용전류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방식CBTC
최고속도80㎞/h
표정속도㎞/h
지상구간없음
통행방향우측통행
개통 연혁2016년 10월 28일 시리후타이안
1. 개요
2. 노선
3. 본선
4. 지선



1. 개요[편집]


선전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난산구시리후역뤄후구타이안역을 잇는 본선, 선윈역과 문화체육공원역을 잇는 지선[미개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선색상은 남색이다. 2016년 10월 28일에 푸린역을 제외하고 선전 지하철 9호선과 동시 개통하였다. 선전 지하철 7호선은 차량은 6량 1편성이다. 해당 소자는 봉바르디에 IGBT인데 구동음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1, 2차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현대로템 IGBT(IPM) 구동음과 흡사하다.

2. 노선 [편집]


파일:external/www.sznews.com/001e4f9daa8711f0860c17.jpg

3. 본선[편집]


번호한국어 역명중국어 역명영어 역명승강장환승노선
701시리후역西丽湖站Xili lake│■│(지하2층)
702시리역西丽站Xili■││■(지하2층) 5호선
703차광역茶光站Chaguang│■│(지하2층)
704주광역珠光站Zhuguang│■│ (지하2층)
705룽징역龙井站Longjing│■│ (지하2층)
706타오위안춘역桃源村站Taoyuancun│■│(지하2층)
707선윈역深云站Shenyun│■│■│(지하2층)7호선 지선
708안퉈산역安托山站Antuo hill■││■(지하2층) 2호선
709눙린역农林站Nonglin│■│ (지하2층)
710처궁먀오역车公庙站Chegongmiao│■││■│(지하4층) 1호선
9호선
11호선
711상사역上沙站Shangsha│■│(지하2층)
712사웨이역沙尾站Shawei│■│ (지하2층)
713스샤역石厦站Shixia│■│ (지하3층) 3호선
714황강춘역皇岗村站Huanggangcun│■│ (지하3층)
715푸민역福民站Fumin│■│(지하3층) 4호선
10호선
716황강커우안역皇岗口岸站Huanggang checkpoint│■│ (지하2층)[2]
717푸린역福邻站Fulin │■│ (지하3층)[3]
718츠웨이역赤尾站Chiwei│■│(지하2층)
719화창난역华强南站Huaqiang south│■│ (지하2층)
720화창베이역华强北Huaqiang north│■│ (지하3층) 2호선
721화신역华新站Huaxin│■│ (지하3층) 3호선
722황무강역黄木岗站Huangmugang│■│(지하2층)
723바과링역八卦岭Bagualing│■│(지하2층) 6호선
724훙링베이역红岭北站Hongling north│■│(지하2층) 9호선
725쑨강역笋岗站Sungang■││■(지하3층)
726훙후역洪湖站Honghu■││■(지하3층)
727톈베이역田贝站Tianbei│■│(지하3층) 3호선
728타이안역太安站Tai'an│■│ (지하3층) 5호선


4. 지선[편집]


열차는 3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4] 문화체육공원의 승강장을 너무 짧게 만들어서 한 편성을 둘로 쪼개고 연결통로가 있던 자리에 운전실을 만들어 운행중이다. 여기 참조.
번호한국어 역명중국어 역명영어 역명승강장환승노선
707선윈역深云站Shenyun│■│■│(지하2층)7호선 본선
707-1문화체육공원역文体公园站Wenti Park ■│(지상1층)

* 취소선이 적힌 노선 및 역은 현재 미개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7:30:04에 나무위키 선전 지하철 7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4년 12월 쉐푸의원역으로 연장 예정[미개통] [2] 이 역에서 내리면 황강 통상구을 통해 홍콩으로 넘어갈 수 있다.[3] 미개통[4] 차량기지 통근용